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아이돌봄 서비스 신청법 | 정부지원 비용·조건 총정리

by 고즈경제 2025. 3. 30.

아이돌봄 서비스 신청법 | 정부지원 비용·조건 총정리

✅ 아이돌봄 서비스란?

아이돌봄 서비스는 맞벌이, 한부모 가정, 취업 준비 중인 부모 등 가정의 양육 공백을 채우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돌봄 서비스입니다.
전문 아이돌보미가 집으로 방문해 돌봄, 놀이, 학습 보조, 등·하원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, 정부 지원금으로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.

 

📌 정부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방법

1. 신청 자격

대상 기준주요 내용
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 (2025년 기준 약 730만원/4인가구)
가족 유형 맞벌이, 한부모, 장애부모, 조손가정, 다자녀 가정 등
아동 기준 만 12세 이하 자녀 (장애아동은 만 18세까지 가능)

 

2. 신청 절차

  1. 아이돌봄 홈페이지 접속 → www.idolbom.go.kr
  2. 회원가입 및 로그인
  3. 서비스 신청 → 돌봄 시간·형태 선택
  4. 필요 서류 제출 (가족관계증명서, 소득증빙 등)
  5. 지자체 심사 후 승인
  6. 돌보미 매칭 및 서비스 시작

 

💡 서비스 유형 & 비용 비교

구분시간제 아이돌봄종일제 아이돌봄

 

서비스 시간 주 15일, 1시간전일 이용 가능 월~금, 하루 8시간 이상
주요 내용 놀이·학습보조, 등·하원 지원, 일시 돌봄 종일 양육 대행, 가정 내 보호·교육
지원 대상 일시적 돌봄이 필요한 가정 장시간 돌봄이 필요한 맞벌이·한부모 가정
정부 지원 소득 기준에 따라 최대 90% 지원 소득 기준에 따라 최대 90% 지원
본인 부담 시간당 1,540원~10,780원 월 최대 75만 원 내외 (지원율에 따라 상이)

💰 정부 지원금 지원율 (2025년 기준)

가구 소득 기준지원율시간제(시간당) 본인 부담종일제(월) 본인 부담
기준중위소득 75% 이하 90% 지원 1,540원 약 7만원 내외
기준중위소득 75~120% 이하 75% 지원 3,850원 약 18만원 내외
기준중위소득 120~150% 이하 50% 지원 7,700원 약 37만원 내외
기준중위소득 150% 초과 (일반가구) 정부 지원 없음 10,780원 약 75만원 이상 전액부담

※ 정확한 금액은 거주 지자체 및 신청 월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.


🚀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시 주의사항

  • 대기 기간 : 신청 후 승인까지 최대 4주 소요
  • 돌보미 변경 가능 : 매칭된 돌보미와 맞지 않을 경우 변경 신청 가능
  • 이용 시간 유의 : 시간제의 경우 최소 1시간 단위로 신청 가능
  • 중도 해지 시 : 미이용 시간에 대한 환불 불가
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
Q. 맞벌이 부부가 꼭 소득 기준에 맞아야 신청 가능한가요?

A. 아닙니다. 소득 기준과 무관하게 누구나 신청할 수 있지만, 정부 지원금은 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고소득 가정도 전액 자부담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합니다.


Q. 시간제와 종일제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?

A.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.
시간제 : 일시적 돌봄, 출퇴근 시간 등 단시간 필요 시 추천
종일제 : 장시간 가정 내 보호 필요한 맞벌이·한부모 가정에 적합

 

Q. 신청 후 바로 이용 가능한가요?

A. 아닙니다. 서비스 승인 후 돌보미 배정까지 평균 2~4주 소요됩니다.
긴급한 돌봄 필요 시 지자체 아이돌봄센터에 문의해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

 

🌐 유용한 관련 링크